본문 바로가기

Python/내장함수

(Python) 내장함수

728x90

 

zip() : 두 개의 iterable 객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함수

a = [1,2,3,4]
b = {1,2,3}
seasons = ("봄", "여름", "가을", "겨울")

print(list(zip(a,seasons)))
print(list(zip(b,seasons)))

for (a,b) in list(zip(a,seasons)):
    print(a,b)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1, '봄'), (2, '여름'), (3, '가을')]
#1 봄
#2 여름
#3 가을
#4 겨울

 

 

filter() : 조건을 제시하는 함수를 만들어서 그 조건에 해당하는 요소를 추출하는 함수

두 개의 인수를 받으며, 첫번째는 조건함수, 두번째는 iterable 객체를 받는다.

def myfilter(x):
    return x > 3

a = [1, 2, 3, 4, 5, 6]

print(list(filter(myfilter,a)))

#[4, 5, 6]

 

 

map() : 반복 가능한 객체에 대해서 각 항목에 대해 주어진 함수를 적용한 후 적용 결과를 반환

두 개의 인수를 받으며, 첫번째는 적용 예정 함수, 두번째는 iterable 객체를 받는다.


def square(n):
    return n**2

a = [1, 2, 3, 4, 5]
tup1 = (1, 2, 3, 4, 5)

b = map(square,a)
print(list(b))

print(tuple(map(square,tup1)))

#[1, 4, 9, 16, 25]
#(1, 4, 9, 16, 25)

 

 

 filter() 와 map() 은 비슷한 형태이다!!

 

 

eumerate() : iterable 객체를 입력 받아서 열거형 객체를 반환한다.

열거형 객체는 첫번째 요소로는 순서를, 두번째 요소로는 순서에 해당하는 값을 갖는 객체이다.


start 라는 매개변수로 시작하는 순서 값을 변경 가능하다.

기본 옵션은 0부터 시작한다.

seasons = ["봄", "여름", "가을", "겨울"]
print(list(enumerate(seasons)))
print(list(enumerate(seasons, start=2)))

#[(0, '봄'), (1, '여름'), (2, '가을'), (3, '겨울')]
#[(2, '봄'), (3, '여름'), (4, '가을'), (5, '겨울')]

 

 

max(), min() : 리스트나 튜플에서 가장 큰 항목과 가장 작은 항목을 반환한다.

dir() : 객체가 가지고 있는 변수나 함수를 보여준다. 그 결과를 리스트로 반환한다.

print(dir([1,2,3]))

 

 

eval() : 전단될 수식을 구문분석을 하고 프로그램 내에서 수식의 값을 계산하는 함수

 

x = 10
y = 15
print(eval("x + y"))

 

 

abs(), any(), all(), bin()

 

# abs() : 절대값을 반환

i = -20
print("-20 의 절댓값", abs(i))

i = -20.55
print("-20.55 의 절댓값", abs(i))
print("-------------------------------------")

# all() : 시퀀스(리스트, 딕셔너리 등)를 받아서 시퀀스의 모든
# 항목이 참이면 True 반환. and 조건과 유사하다. 하나라도 0인
# 값이 들어가면 False 반환

mylist = [1, 4, 7, 10]
print(all(mylist))

mylist = [1, 4, 7, 10, 0]  # 하나의 값이 거짓
print(all(mylist))
print("------------------------------------")

# any() : 시퀀스 객체 있는 한개의 항목잉라도 참인 경우에 
# 참을 반환한다. or 조건과 유사

mylist = [0, 0, 7, 10, 20]  # 하나라도 true 임
print(any(mylist))

mylist = [0, 0, 0, 0]   # true 인게 하나도 없다.
print(any(mylist))
print("-----------------------------------")

# bin() : 10진수를 이진수로 표현해주는 함수. 항상 접두사 0b
# 로 시작한다.

y = bin(15)
print(y)

y = bin(255)
print(y)
print("-----------------------------------")

'Python > 내장함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람다식. lambda  (1) 2024.01.25
(Python) 정렬  (1) 2024.01.25